coyojo10의 개발블로그!
네트워크 구조 본문
< 네트워크 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>
- 규모 ; 회사나 학교 등의 집단 크기에 따라 구분한다 ( 사용자, 대역폭)
- 업종 : 어떤 서비스를 하는지에 따라 네트워크 구조가 다르기때문에 업종에 따른 서비스 중요도
- 통신 방식과 경로 : Server & Client , Peer to Peer
- 토폴로지 ( 내트워크의 다양한 형태, 정보 통신망의 구성이라는 것은 테이터 통신을 위해서 각각의 정보 단말장치(컴퓨터)를 어떤 형태로 연결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다.) : Star, Ring, Mesh, Bus, Tree
< 토폴로지 - Star >
- 중앙에 있는 단말 장치에 모두 연결된 구조로 항상 중앙의 정보 단말 장치를 통해서만 연결이 가능한 구조
- 성형은 중앙의 정보 단말 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면 모든 통신이 불가능하다.
<링형(Ring) 토폴로지>
- 인접해 있는 정보 단말 장치가 연결된 구조
- 링형은 토큰링(Token Ring)에서 사용한다.
- 토큰을 가진 clinet만 통신이 가능하다. 링을 돌며 통신 권한이 있는 client를 찾는다.
< 망형(Mesh) 토폴로지>
- 모든 정보 단말 장치가 통신회선을 통해서 연결된 구조로 한쪽 통신회선에 에러가 발생해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
- 한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해도 네트워크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네트워크이다
<버스형(Bus) 토폴로지>
- 중앙의 통신 회선 하나에 여러 개의 정보 단말 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LAN(Local Area Network) 에서 주로 사용한다.
- 터미네이터(Terminator)는 시그널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. 목적지 없는 데이터를 잡는 역할이다.
< 계층형(Tree) 토폴로지>
- 트리 구조 형태로 정보 통신망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보 단말 장치를 추가하기 용이한 구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