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coyojo10의 개발블로그!

Servlet 정리 본문

백엔드

Servlet 정리

coyojo 2022. 11. 29. 14:59

<<< Servlet 서블릿 >>>
   - 클라이언트의 요청을 처리하기 위한 기술
   - 서버에서 클라이언트의 요청을 처리하고 응답할 수 있도록 만들어진 객체
   - 클라이언트가 요청을 하면 서버에서 실행되면서 DB에 대한 처리, 서버의 리소를 이용해서 만들어진 결과를 클라이언트에 응답
   - 클라이언트가 요청하면 서버가 자동으로 요청한 서블릿을 찾아서 실행하므로 서버가 인식하는 위치에 있어야 한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--------------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서블릿 디렉토리(표준화된 폴더 구조의 classes폴더)_____|
   - 서버를 구성하는 많은 클래스내부에서 우리가 만든 서블릿 객체가 실행되도록 하기 위해서는 
     서버가 인식할 수 있는 규칙에 맞게 클래스를 작성해야한다.  
     
    <<서블릿 작성 규칙>>
    1. 표준화된 폴더 구조 안에 서블릿 클래스가 위치해야 한다.
     서블릿이 저장될 폴더  - classes
     
     [표준화괸 폴더 구조 ] 
     
     Context
       |---------------jsp,html,css,javascript,image,......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 |
       |___WEB-INF(폴더)
             |-----web.xml
             |-----lib(폴더) - ojdbc6.jar와 같은 라리브러리
             |-----classes(폴더) - 서블릿, 자바클래스, dto,dao,.....
             
      
      ==> 서블릿클래스가 classes 폴더에 없으면 서버가 찾을 수 없다. 

 

 2. 서버에 의해서 호출될 것이므로 반드시 public 클래스로 작성해야 한다.
    3. 서블릿 클래스가 되기 위해서 무조건 서블릿 클래스를 상속받아야 한다.
    
        Servlet
          ^
          |
        GenericServlet --- 서블릿의 일반적인 내용이 정의된 서블릿 클래스 
          ^
          |
        HttpServlet  --- http 프로토콜에 특정적인 내용이 정의된 서블릿 클래스 
          ^
          |
        MyServlet ---- 사용자가 만든 서블릿  

 

 

 참고!! ===> 

http 프로토콜의 특성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대한 처리를 다하고 응답을 하면 서버쪽에 연결했던 모든 정보를 클리어시킨다. 그것을 스테테이트리스라고 한다. 이렇게 되면 예를들어 매번로그인을 계속 해줘야하는데 이것이 불편하므로 상태정보유지 기술로 Cookie나 Session이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