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yojo10의 개발블로그!
Servlet 정리 2 본문
< 서블릿 등록>
- 서버가 요청을 분석해서 서블릿디렉토리에서 서블릿을 찾아서 실행할 수 있도록 요청별로 실행할 서블릿을 등록
- 설정파일에 등록(web.xml)
- 실제 작업은 annotation으로 설정
- web.xml파일은 xml형식의 파일이므로 태그로 작성하고 <작성규칙> 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작성해야 한다.
작성규칙이란? => dtd - xml안에서 정의하고 사용할 엘리먼트를 정의한 명세서(엘리먼트의 순서, 값의 타입...)
1) 서블릿 클래스를 등록
==> 어떤 클래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등록 : 무엇을????
<servlet>
<servlet-name> 서블릿명(alias)</servlet-name>
<servlet-class> 서블릿의 실제 클래스명(패키지를 포함)</servlet-class>
</servlet>
ex) basic패키지에 작성한 FirstServlet을 first라는 이름의 서블릿 명으로 등록
<servlet>
<servlet-name>first</servlet-name>
<servlet-class>basic.FirstServlet</servlet-class>
</servlet>
2) 서블릿 매핑
==> 등록된 서블릿을 어떻게 요청할 것인지 등록하는것 (어떤 url로 요청할 것인지)
==> 반드시 <servlet> 엘리먼트 다음에 위치해야 한다. 즉, <servlet>엘리먼트와 함께 한 쌍으로 정의해야 한다.
==> 위에서 등록한 서블릿을 어떻게 요청할 것인지 등록하는 엘리먼트
<servlet-mapping>
<servlet-name> 위에서 정의한 서블릿의 이름</servlet-name>
<url-pattern> 요청할 서블릿의 path </url-pattern>
-------------------------
</servlet-mapping> |____ 반드시 / (슬래시) 나 . (점) 으로 시작해야 한다.
ex)
<servlet>
<servlet-name>first</servlet-name>
<servlet-class>basic.FirstServlet</servlet-class>
</servlet>
<servlet-mapping> // first로 등록된 서블릿을 /first.sds로 요청했을때 실행하겠다는 의미
<servlet-name>first</servlet-name>
<url-pattern>/first.sds</url-pattern>
</servlet-mapping>

'백엔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P 정리 (0) | 2022.12.06 |
---|---|
servlet 정리 멤버변수와 지역변수 (0) | 2022.12.03 |
Servlet 정리 (0) | 2022.11.29 |
JDBC - Connection 관리를 위한 클래스 작성 실습 (0) | 2022.11.29 |
JDBC 오라클 1 -오라클 드라이버 로딩하고 커넥션 설정 (0) | 2022.11.25 |